본문 바로가기

집가고싶다

(2)
[Github 사용법 A to Z] 4_GIT으로 협업하기 (vscode로 병합충돌 해결 후 push 해보기) 저번 챕터에서 어떤 방식으로 main 브랜치까지 협업하는지 확인해보았는데요이번챕터에서는 중간에 development 브랜치가 없다고 가정하고개인브랜치 => main 브랜치로 머지를 진행해보겠습니다. 저번에 실습하던 git_study 폴더를 vscode에서 다시 열어주세요 자 여기서 브랜치를 하나 만들어볼게요 📌 git checkout 브랜치이름브랜치를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.기존에 생성해두었던 브랜치를 이동하려면 git checkout을 사용하면 되지만우리는 새로 생성할 것이기 때문에 브랜치 생성과 이동을 같이 하는 명령어인git checkout -b 브랜치이름 명령어를 사용하겠습니다.git checkout -b fix/readme  브랜치이름은 리드미를 수정했다는 의미로 fix/readme로 해줬습니다..
[Github 사용법 A to Z] 3_GIT으로 협업하기 (실무에서 쓰는 협업규칙) 저희 팀은 GIT으로 협업할 때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. 1. 새로운 브랜치 생성 (개인 브랜치로 한명만 작업이 가능한 브랜치입니다.)ex) 모달 버그 수정일 경우: fix/modal 브랜치 생성하여 해당 브랜치에서 작업브랜치 이름 규칙 [feature/기능이름]- feature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단어들feature: 새로운 기능 개발fix: 버그수정hotfix: 실서비스 긴급 수정 사항documentation: 문서 작성 및 업데이트 여기서 잠깐 ,,main: 프로덕션에 배포되는 안정적인 버전을 관리하는 브랜치 (상용 사이트)development: 개발 중인 소스를 관리하고 팀원 간 협업을 진행하는 브랜치 (개발 사이트) 2. 기능 개발이 끝나면 development 브랜치에 merge reque..